정보2013. 11. 5. 16:00

네트워크 상의 프린터를 공유하여 정상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보이나 인쇄가 되지 않을 때 해결 방법

프린터는 윈도XP에 설치되어 있고, 사용하려는 컴퓨터는 윈도7 또는 윈도 비스타일 때에 해당한다.

먼저 네트워크 상에서 상대 컴퓨터를 확인할 수 있으며 프린터 상태를 볼 수 있는지 확인한다. 공유 자체가 안 된 경우는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.

1. 방화벽 설정 확인
제어판에서 예외항목 중 "파일 및 프린터 공유" 체크를 확인한다. 이것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면 아래 항목을 참고한다.

2. IPv6 터널 어댑터를 비활성화한다.

관련 링크:  http://www.parkoz.com/zboard/view.php?id=my_tips&no=10158

위 링크를 참고하여 조치한다.

링크글 요약:
Regedit을 실행시키고 아래 위치를 찾는다.

HKEY_LOCAL_MACHINE\SYSTEM\CurrentControlSet\Services\tcpip6\Parameters 

이 곳에 DWORD값을 만들고 이름은 "DisabledComponents"로, 데이터는 1로 한다.

이후 재부팅하고 다시 프린터를 연결한다.

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비활성화하여도 IPv6 사용에 문제는 없다고 한다.

Posted by Truelight
정보2013. 11. 5. 15:59

빠른 속도를 가진 램디스크를 인터넷 브라우저의 캐시폴더로 지정하면 더욱 쾌적한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다. 특히 읽기/쓰기 횟수가 제한된 SSD의 경우 수명연장을 위해 캐시폴더를 따로 지정하는 것이 필수라 할 수 있다.


구글 크롬에서 캐시폴더를 옮기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.


1. --user-data-dir="D:\chrome" 

이 옵션을 설정하면 캐시폴더 뿐만아니라 플러그인이나 환경설정까지 모두 D:\chrome 폴더로 지정된다. 매우 쾌적한 환경이 보장된다....고 할 수 있으나 재부팅할 때마다 초기화되는 램디스크 특성상 새로 부팅할 때마다 환경설정과 플러그인이 모두 초기화되는 문제가 있다.


캐시폴더만 옮기고 환경설정/플러그인은 보존하고 싶은 경우에는 다음 옵션을 사용한다.


2. --disk-cache-dir="원하는경로"


구글 크롬 실행 아이콘에 우클릭하여 속성을 연 뒤 실행대상을

C:\~~~~~\chrome.exe --disk-cache-dir="원하는경로" 

이와같이 설정한다.

이것으로 각종 환경설정은 보존하면서 임시인터넷 파일 폴더만 옮길 수 있다. 

아래 링크에 크롬의 (아마도)모든 명령행 옵션이 나와 있다.

http://qaos.com/article.php?sid=2881

Posted by Truelight
시사2013. 10. 17. 15:44

http://news.khan.co.kr/kh_news/khan_art_view.html?artid=201310161114581&code=940301




법을 넘어선 판결을 내릴 순 없으니 이해는 하지만...

'시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일베 사건 모음  (0) 2013.12.24
국사교과서, 국정교과서化 추진  (0) 2013.11.09
Posted by Truelight